정부에 내는 세금 중에서 가장 많은 부담을 주는 것은 갑근세입니다. (물론 최근에는 간접세가 가장 많은 부담을 주는 것 같지만요.) 사실 요즘에는 갑근세보다는 근로소득세라는 용어를 더 많이 사용하는 것 같습니다. 아무튼 부담이 큰 이런 세금은 직장을 다니는 사람들에게는 항상 주요한 이슈입니다.

그래서 많은 직장인 분들이 갑근세(근로소득세) 부담을 줄이기 위해 공제 등을 열심히 알아보고, 어느 구간에 속하는지 매년 확인하는 것이 관심사가 됩니다. (실제로는 간접세를 줄이는 것이 더 효과적인 선택이겠죠.^^;) 그렇다면 이 금액은 어떻게 정해지는 것일까요?

근로소득세는 부양 가족 수에 따라 표 형태로 정해지며, 이를 조견표라고 합니다. 이전에는 개인이 직접 조견표를 정리하여 사용했지만, 현재는 정부에서 조견표를 웹상에 PDF 파일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아래 링크를 첨부하도록 하겠습니다.
국세청 홈페이지 바로가기 : https://www.nts.go.kr/nts/main.do
국세청 웹사이트에서 근로소득간이세액표(갑근세 조견표)라는 이름으로 해당 파일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이 파일은 주로 정부의 공식 사이트에서 제공되므로 링크를 공유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 블로그에 업로드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가능하면 정부 공식 사이트 링크를 활용하는 것이 더 안전하고 정확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