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입인지는 인지세나 수수료 등 국가의 세입금을 납부하는데 사용되는 증표를 이야기 합니다.
원래는 우표 비슷하게 생긴 실물 수입인지였습니다. 저도 아주 오래전에 구청에서 일을 볼때 어떤 곳에 가서 수입인지를 구매를 해서 붙이는 작업을 했었던 적이 있었습니다.
![](https://berrytour.com/wp-content/uploads/2023/05/image-1982.png)
대략 이렇게 생겼다고 보면 됩니다. 위의 이미지에서 위에것은 정부에서 발급한 수입인지였고, 아래는 지자체에서 만든 수입인지였습니다. 크기가 조금 다르지요. 가끔 비싼것을 하게 되면 만원짜리를 덕지덕지 붙였던 기억이 납니다.
![](https://berrytour.com/wp-content/uploads/2023/05/image-1983.png)
하지만 이제는 시대가 시대인만큼 실물 수입인지 뿐만아니라 전자 수입인지도 도입이 되었습니다. 민원인이 수입인지를 사서 붙여야 하는 불편과 횡령 비리수단으로 악용되는 수입인지 때문이지요.
위 링크는 전자 수입인지 사이트 바로가기가 가능합니다. 들어가보시면 여러 보안 프로그램을 설치해야하고, 공인인증서도 필요합니다. 돈을 쓰는 것은 당연히 이렇게 공인인증서가 필요한것 같아요.